비정규직 뜻과 유형

비정규직의 뜻과 유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정규직과 일하는 기간과 근로 방식, 고용 지속성 등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합니다. 나아가, 비정규직의 유형인 한시적 근로자와 시간제 근로자와 비전형 근로자는 어떠한 방식으로 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비정규직 뜻

비정규직은 직위나 직무를 가리키는 단어로, 법적인 개념은 아닙니다. 그러나 일하는 기간, 근무하는 방식, 고용의 지속성 등에서 보장받지 못한다는 점에서 정규직의 잔여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계약직이나 인턴, 일용직, 기간제 근로자, 비전형 근로자 등이 모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하는 기간
특정한 기간을 정하여 일하며, 해당 기간이 끝나면 근로 계약은 종료가 되는 형태입니다.


근로 방식
정규직이 전일제(full time)라면, 이런 방식이 아닌 나머지는 비정규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시간제(part time)로 일하는 형식입니다.


고용의 지속성
정년이 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용의 지속성을 보장받을 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비정규직 유형

노사정위원회 기준으로, 한시적 근로자, 시간제 근로자, 비전형 근로자로 나누어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한시적 근로자와 시간제 근로자, 비전형 근로자에 대하여 확인해 보겠습니다.



한시적 근로자
한시적 근로자란, 기간제 근로자비기간제 근로자를 포괄합니다.


▷기간제 근로자
기간제 근로자는 계약직, 임시직, 일용직 등이 있으며, 근로 계약 기간을 정해서 일합니다.

  • 계약직 : 보통 근로 계약 기간이 1년, 2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임시직 : 임시직은 몇 달 동안만 임시로 일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일용직 : 계약 기간이 짧으며, 예를 들어 하루만 근무하는 경우입니다.



비기간제 근로자
일할 기간을 정해두지 않고 계약을 한 경우입니다. 기존에 일했던 사람이 복귀한다거나, 계절 근무 등의 비자발적인 이유로 계속 일할 수 없는 경우와, 근로 기간은 정하지 않았으나 계약을 갱신하는 형태로 계속 일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시간제 근로자
시간제 근로자는 보통 아르바이트를 말합니다. 같은 업무를 하는 사람들보다 더 적은 시간을 일하며, 임금이 시간 단위로 지급됩니다. 보통 일주일에 36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경우입니다.




비전형 근로자
비전형 근로자는 파견근로자와 용역근로자, 그리고 특수형태근로종사자, 가정 내 근로자, 일일(단기) 근로자 등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파견근로자
파견사업주에게 고용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사업장의 책임자와 같이 사용사업주의 사업체에 파견되어 일하는 형태입니다. 임금 및 고용 관계는 파견사업주의 관리를 받게 되지만, 업무적으로 필요한 지휘는 사용 업체로부터 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용역근로자
용역업체에 고용되어 있지만, 용역 계약을 맺은 회사의 작업장에서 일하는 경우입니다. 소속되어 있는 용역업체에서는 일하는 사람에게 임금을 지불하고, 업무를 지시합니다. 반면에 실제로 일하는 회사에서는 일하는 사람과 어떠한 법률적인 관계를 맺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자영업자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근로자의 성격이 더 많아서 법적인 보호가 필요한 근로종사자를 지칭합니다. 학습지 교사와 보험 모집인, 택배 기사, 레미콘 운송 차주, 골프장 경기보조원, 그리고 퀵 서비스 기사 등을 사례로 함께 말할 수 있습니다.

가정 내 근로자
사업체의 작업장이 아니라 가정 내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입니다. 재택근무나 가내 하청 등을 말할 수 있습니다.

일일(단기) 근로자
일거리가 생겼을 경우 며칠이나 몇 주 등 짧은 기간만 일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마무리

비정규직의 뜻과 유형, 즉 근로 기간 및 방식, 지속성 등에서 정규직과 다른 점과 한시적 근로자 및 시간제 근로자, 비전형 근로자가 근무하는 형태를 알아보았습니다.